실시간뉴스

기업은행 아이돌봄 지원금 1인 최대 150만원 신청방법

오널쓰 2025. 9. 19. 13:21

아이 돌봄 서비스는 맞벌이 가정이나 돌봄이 필요한 가정에 큰 도움이 되는 제도입니다.

 

이러한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IBK기업은행은 매년 ‘IBK 아이돌봄지원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 근로자 및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돌봄 비용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기업은행 아이돌봄 지원금

이번 모집 안내는 2025년 9월 15일(월)부터 9월 24일(수)까지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지원 대상 및 신청 조건

IBK 아이돌봄지원 사업의 주요 대상은 중소기업 근로자 및 소상공인입니다.

 

특히 지난 1년간(2024년 9월 ~ 2025년 8월) 아이돌봄서비스를 이용하며 본인 부담금이 발생한 가정이 해당됩니다. 즉, 이미 서비스를 이용해 돌봄 비용을 지출한 경험이 있어야만 신청 자격이 주어집니다.

소득 기준은 신청 가정의 월 소득이 건보료 기준으로 중위소득 6천만 원 이하인 경우 지원 신청이 가능하며, 이는 실질적으로 저소득·중소득 가정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근로자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지만, 단순 대기업 근로자나 고소득 가정은 제외됩니다.

기업은행 아이돌봄 지원금 규모

이번 IBK 아이돌봄지원 사업은 선발된 가정에 대해 1인 최대 150만 원까지 지원합니다.

 

이는 단순한 일회성 지원이 아니라, 실제 아이돌봄 서비스 이용 시 발생한 본인부담금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https://www.ibkfoundation.or.kr/childcare/info?mn=71

 

IBK행복나눔재단

부모님이 안심하고 일과 양육을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IBK아이돌봄지원’ 사업은 맞벌이 등으로 양육 공백이 발생하여 아이돌봄서비스를 이용한 중소기업 근로자의 자부담금을 지원

www.ibkfoundation.or.kr

 

특히, 맞벌이 부부나 소규모 자영업 가정처럼 돌봄 공백을 메우기 위해 아이돌봄 서비스를 상시적으로 활용하는 경우, 매달 적지 않은 비용을 지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부담을 덜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습니다.

 

지원 인원은 총 250명 내외로 제한되어 있어 조기 마감 가능성이 높아 신청 조건을 충족하는 가정이라면 이번 기간 내 반드시 신청을 완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청 방법 및 제출 서류

신청은 IBK 행복나눔재단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단순히 신청만 하는 것이 아니라, 증빙 서류를 함께 제출해야 합니다.

 

기업은행 아이돌봄 지원금 필요서류

필요 서류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

 

-가족관계증명서: 돌봄이 필요한 자녀와의 관계 확인용.

-소득 증빙서류: 건강보험료 납입증명서 혹은 소득금액증명원 제출.

-아이돌봄서비스 본인부담금 납입 증빙자료: 실제로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며 지출한 금액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

 

제출된 서류를 바탕으로 지원 적격 여부가 심사되며, 심사 후 선정된 가정에 대해 순차적으로 지원금이 지급됩니다. 특히 신청 기간이 짧기 때문에 필요한 서류를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기업은행 아이돌봄 유의사항 

첫째, 신청은 반드시 정해진 기간인 2025년 9월 15일부터 9월 24일까지 완료해야 합니다. 기간 외 접수는 불가하므로 미리 캘린더에 체크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둘째, 소득 기준 확인이 중요합니다. 건강보험 납입액을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단순 연소득만 계산하면 안 되며, 실제 납입 내역을 확인해야 합니다.

셋째, 아이돌봄서비스 본인부담금 증빙자료는 누락 없이 제출해야 합니다. 만약 자료가 불완전하거나 누락될 경우 심사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넷째, 신청은 1인당 1회만 가능하며, 선정 후 지원금은 신청 당시 제출한 계좌로 지급됩니다. 따라서 계좌정보 또한 정확히 기재해야 합니다.

 

기업은행 아이돌봄 지원금 의의

IBK 아이돌봄지원 사업은 단순한 경제적 지원을 넘어 가정의 돌봄 부담을 사회가 함께 나눈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맞벌이 부부나 소상공인 가정에게는 아이 양육과 생계 활동을 동시에 이어갈 수 있는 든든한 기반이 되어주며, 장기적으로는 출산·양육 친화적인 사회 분위기를 확산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이번 모집은 인원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대상에 해당하는 가정이라면 반드시 신청해 혜택을 놓치지 않아야 합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민간-공공 협력형 지원 사업이 꾸준히 확대되어 더 많은 가정이 돌봄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